💚 파인더스에이아이의 아홉번째 '리테일 테크 레터' 입니다 |
|
|
글로벌 AI 무인화 시장이 어떻게 흘러가고 있을까요? 그리고 잘하고 있는 기업들은 무엇이 다를까요? 모든 무인 기술 기업들이 성공을 거두고 있는 것은 분명 아닙니다. 그러나 이 시장에서 지속적으로 제품을 개선하고, 페인포인트 해결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는 기업들의 성공 사례는 계속해서 나오고 있습니다. 이번 뉴스레터에서는 시장에서 정체된 기업들과 성공적으로 확장하고 있는 기업들의 차이점을 분석해보는 내용으로 레터를 준비했습니다. |
|
|
글로벌 AI 무인화 시장, 주요 플레이어들 전략 분석 |
|
|
한계에 부딪힌 기업들
1. 무게센서 없이 비전 AI으로만 무인화 시도하는 기업들
-
- 무인매장은 비전 AI와 무게센서의 센서퓨전으로 작동됩니다. 대부분의 기업들이 무게센서를 사용하는 이유는 정확도 때문인데요, 이중 몇몇 기업들은 비전 AI 만으로 획기적인 비용을 절감하고 시간을 단축하겠다는 목표를 내세웠습니다. 결과는 어땠을까요?
- Standard AI: Y-Combinator 출신인 Standard AI는 Softbank Vision Fund의 투자로 유니콘 기업이 되었으며, 몇 년 전만 해도 아마존과 함께 시장의 선두기업이었습니다. 그러나 선두 기업들 중 가장 저조한 매장 수를 기록하며, 올해 상반기에 CEO가 바뀌고 사업모델도 비전 AI를 기반으로 매장 분석하는 방향으로 변경되었습니다.
- Grabango: 비전 AI만을 외치며 확장에 실패한 Grabango는 올해 초 매장 한 개를 오픈하는데 그쳤습니다. 2022년에 당사가 해당 매장 직접 방문하여 테스트를 해본 결과, 비전 AI만으로는 매장 관리에 한계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2. 대형 매장에 집중하는 기업들
-
- Trigo: 대형 매장에서의 대기줄 문제는 분명 큰 문제지만, 대형 매장을 무인화하기 위해서는 많은 센서, 비용, 그리고 높은 개발 난이도가 필요합니다. 이스라엘의 Trigo는 REWE, TESCO등과 같은 유럽 대형 유통사들로부터 전략적 투자를 받았지만, 신규 점포가 타 선두기업들처럼 빠르게 확장되고 있지는 않습니다.
|
|
|
확장 가능한 기술방향성과 모델을 찾은 기업들
1. 초소형 매장에 집중하는 기업들
-
- 이들 기업은 모두 무게센서를 기반으로 높은 정확도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Amazon: 매장 수를 작년 말 기준 100개에서 올해 상반기까지 140개로 확장했습니다.
- Cloudpick: 싱가폴, 미국, 이탈리아, 일본 등에서 빠르게 확장하고 있으며, ‘1일 내 매장 설치’라는 포인트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 Zippin: 처음부터 규격화된 작은 매장에만 집중하며 성공을 거두고 있습니다.
2. 새로운 형태의 매장에 활용하는 기업들 - 의류 매장
-
- Amazon, AiFi: RFID와 비전 AI를 활용하여 의류 매장을 무인화하고 있습니다. 의류는 형태가 고정되어 있지 않아 비전 AI만으로는 파악하기 어렵지만, RFID 태그를 활용하면 높은 정확도로 의류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과거에는 직원이 일일이 RFID 태그를 붙여야해서 본 형태로 솔루션 확장성이 낮았지만, 현재는 의류 기업이 제조 과정에서 RFID 태그를 붙여 출시하면서 비용이 절감되고 있습니다.
|
|
|
조용한 성공은 진행 중이다
수년 전만해도 ‘비전 AI 중심으로 대형 유통매장의 무인화한다’는 원대한 비전을 가지고 수백억 대의 투자를 유치한 Standard AI나 Trigo가 이 시장의 선두주자인 것처럼 보였습니다.
그러나 정작 시장에서는 성공을 거두고 있는 기업들은 투자는 더 적게 받았지만, 지난 2년 간 착실히 PMF(Product Market Fit)를 찾고 올바른 기술 방향성을 설정한 기업들이었습니다. 아마존도 초기에는 Trigo와 같이 대형 점포에 집중하다가 후자로 방향성을 선회하며 ‘조용한’ 성공을 거두고 있습니다.
하버드의 고 클레이튼 크리스텐슨 교수는 ‘파괴적 혁신(Disruptive Innovation) 기업은 확실한 수요가 있는 니치 마켓에서 성공을 거둔 후 주류 시장으로 진출해야 한다’고 했는데요, 무인매장과 AI 기술에도 적용되는 내용이라는 생각합니다. 초소형 매장은 당장은 니치 마켓이지만 확실한 성과와 수요를 보여주고 있으며, 무인화 솔루션은 이를 발판 삼아 더 큰 시장으로 확장해 나갈거라 생각합니다. 앞으로 무인 기술의 대중적인 수용을 위해 기술과 사업적인 단계별 접근법이 더욱 필요할 것 입니다. |
|
|
Zippin의 첫 프랑스 진출 소식입니다. 급식업체 Sodexo Live, IT 솔루션 기업 Fujitsu와 협업해 프랑스에 진출한다고 합니다. Zippin은 이벤트성 매장을 종종 연 바 있는데요, US Open('22~'23), FIFA World Cup('23), Super Bowl('24) 등 사람이 몰리는 경기나 이벤트 기간 동안 스타디움에서 저력을 보여준 바 있죠. 이번 프랑스 진출을 통해 Zippin의 무인 매장이 더욱 확대될 지 기대됩니다. |
|
|
REWE, 독일 함부르크에 유럽에서 가장 큰 무인화 솔루션 적용 매장 오픈
독일 2위 슈퍼마켓 체인인 REWE가 유럽에서 가장 큰 무인화 솔루션 적용 매장을 오픈했습니다. 면적은 360평에 판매 상품은 20,000종류가 넘는 대형 매장입니다. 무인화 솔루션은 Trigo가 공급합니다. 다양한 결제 방식을 제공하는 것도 특징입니다. 1) Rewe Pick&GO 앱 스캔, 2) 후결제 방식, 3) 셀프 체크아웃(스캔 방식) 4) 전통적인 유인 체크아웃 등 총 4가지입니다. Rewe는 함부르크에 2개 매장을 더 오픈할 계획이며, 이미 두 번째 매장을 시범운영 중입니다. |
|
|
슈퍼·편의점 없는 행정리 73.5%, 일본은 더 심각
2020년 기준, 전국 행정리 37,563곳 중 27,609곳(73.5%)에 식료품 소매점(슈퍼, 편의점 등)이 없다는 통계청 농립어업 총조사가 있었습니다. 자동차로 30분 이상 운전해야 비로소 식료품점을 찾을 수 있는 곳도 433곳에 달한다고 합니다. 문제가 더 심각한 일본의 경우 정부와 민간기업이 나서는 중입니다. 정부는 마을 하나를 '작은 거점'으로 지정, 식료품점 등 생활 서비스를 집중시키고, 다른 마을과 '작은 거점'을 잇는 교통망 구축 민간에서는 '도쿠시마루'가 전국 1,171대 이동형 슈퍼를 운영하는 등 관련 진행 중입니다. 무인 매장 기술이 더욱 필요한 시대입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