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인더스에이아이의 열두번째 '리테일 테크 레터' 입니다 |
|
|
글로벌 AI 무인화 시장이 어떻게 흘러가고 있을까요? 그리고 잘하고 있는 기업들은 무엇이 다를까요? 모든 무인 기술 기업들이 성공을 거두고 있는 것은 분명 아닙니다. 그러나 이 시장에서 지속적으로 제품을 개선하고, 페인포인트 해결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는 기업들의 성공 사례는 계속해서 나오고 있습니다. 이번 뉴스레터에서는 파인더스에이아이의 'AI 마이크로 스토어'와 글로벌 시장 뉴스들을 전달해드립니다. |
|
|
통합 AI 무인 매장 솔루션이 필요한 오프라인 유통 |
|
|
편의점 등 오프라인 매장이 온라인 커머스의 성장, 고객들의 소비 트렌드 변화 등으로 인해 다양한 변신을 꿰하고 있습니다. 단순한 상품 판매 공간에서 벗어나 카페형 편의점 등 복합적인 공간으로 변모하는 등 우리 주변의 많은 오프라인 매장들이 고객을 사로잡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점격 관리, 고객행동 분석 등의 솔루션을 활용하는 매장들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AI 시대에는 기술로 더 많은 오프라인의 변신이 가능합니다. 단순히 외관과 형태를 바꾸는 것 이상의 혁신이 가능합니다. 오프라인 매장 경쟁력 강화를 위한 어떻게 진화해야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리테일 AI, 무인매장 그 이상의 가치
시장에는 이미 다양한 리테일 AI 솔루션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결품 관리, 고객 행동 분석 등 결제 무인화 못지않게 이러한 솔루션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죠. 국내외 여러 기업들이 이런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파인더스에이아이 역시 관련 문의를 많이 받고 있는데요, 유형별로 알아보겠습니다. |
|
|
1. 점격 관리: 결품 관리, 이상 상황 점검 등
- 점격 관리란 매장의 '격'을 관리하는 것을 말합니다. 구체적으로는 결품 여부, 매장 청결도, 이상 상황 점검 등을 포함합니다. 이는 매우 중요한 업무인데, 결품이나 나쁜 청결 상태로 인한 고객 이탈은 곧바로 매출 손실로 이어지기 때문입니다. 편의점처럼 작은 매장에서도 한 직원이 결제와 점격 관리를 동시에 하기 어렵습니다. 하물며 대형 마트는 더욱 어려운 상황입니다. 이에 AI를 활용한 자동화된 점격 관리 솔루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2. 고객 행동 분석: 오프라인의 데이터 혁명
- 고객 행동 분석은 고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별로 구매 행동을 분석하는 것입니다. 체류 시간, 동선, 특정 상품과의 상호작용 등을 분석하여 유용한 인사이트를 도출합니다. 예를 들어, "30대로 추정되는 여성 고객이 주류 선반에서 얼마나 머물렀고, 어떤 제품을 들었다 놨는지" 등의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할수 있습니다. 이런 데이터는 일/주/월/연 단위 또는 지역별 통계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온라인 쇼핑몰은 이미 이런 데이터를 활용해 지속적으로 매출을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반면 오프라인 매장은 데이터 부족으로 인해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이 상대적으로 어려운 상황입니다.
|
|
|
점격 관리, 행동 분석...상용화가 어려운 이유
- 이러한 솔루션을 개발하겠다는 기업은 많지만, 이를 주력 사업으로 삼는 기업은 드뭅니다. 그 이유는 2가지로 꼽을 수 있습니다.
- 낮은 성능: 개념 증명(PoC) 수준의 제품은 쉽게 만들 수 있지만, 실용적인 수준으로 만들기는 어렵습니다.
- 높은 비용: 카메라 설치뿐만 아니라 데이터 처리를 위한 클라우드 또는 하드웨어 비용이 상당합니다.
- 일부 스타트업들이 기존 CCTV를 활용해 비용을 줄인 모델을 제안하지만, 이런 모델의 정확도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습니다
|
|
|
통합 AI 무인 매장 솔루션의 필요성
- 흔히 '아마존 고'로 알려진 무인매장 솔루션은 단순한 결제 무인화를 넘어섭니다. 결제 무인화에 필요한 카메라와 무게 센서 인프라를 활용해 다양한 무인화, 자동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입니다. 고도의 비전 AI 정확도에 무게 선반 데이터를 더해 단독 솔루션보다 높은 정확도를 실현할 수있습니다. 실제로 선두 무인화 기업들은 유통사와 긴밀히 협력하여 이런 서비스들을 시범 적용하고 있습니다.
- 오프라인 리테일이 온라인과의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결제 무인화를 통한 인건비 절감뿐만 아니라, 데이터 기반의 매장 운영과 자동화 서비스가 필수적입니다. 앞서 언급한 리테일 AI 솔루션이 상용화되려면 단일 솔루션이 아닌 무인매장이라는 통합 솔루션으로 제공되어야 합니다. 이를 통해 높은 정확도와 고정비용 분산을 통한 도입 비용 절감이 가능해집니다.
- 더 나아가 리테일 AI는 데이터 기반의 통합 솔루션으로서 리테일사들의 시스템과 연결되어야 합니다. 단일 솔루션으로 적용될 경우 리테일 점포 운영에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입니다. 모든 솔루션이 통합되어 제공되고, 유통사의 시스템과 씨줄과 날줄처럼 유연하게 연동될 때 오프라인 매장은 이커머스가 20년간 이룬 혁명적인 변화를 따라잡을 수 있을 것입니다. 리테일 AI의 미래가 기대되는 이유입니다.
|
|
|
일본 TTG, 새로운 마이크로 스토어 형태인 TTG-Sense Shelf 매장 오픈
TTG가 최소 규모의 마이크로 스토어를 조호쿠신용금고 오지 기타 혼도리 사무소에 오픈했습니다. 이는 2월 1일부터 6일까지 시나가와역에서 진행된 시범 운영 이후 첫 공식 매장입니다. 도쿄 기타 지역의 기념품을 판매하며, TTG-Sense Shelf는 단 하나의 매대부터 설치가 가능합니다. 기존의 Sense나 Sense W 모델보다 유휴공간 활용도를 높였으며, 프레임을 최소화한 디자인이 특징입니다. 이 시스템은 제한된 공간에서도 효율적인 무인 판매를 가능하게 합니다. |
|
|
Aramark, 독일 VisioLab과 VCO 도입 PoC 진행
Aramark가 Georgia Southern University 미식축구 경기장에 VisioLab의 VCO(Vision Check-out) 2대를 도입하여 이번 시즌 동안 PoC 사업을 진행합니다. VisioLab 제품은 Mashgin보다 간단하고 저렴하며, 아이패드와 결제모듈을 결합한 가벼운 구조로 유연한 활용이 가능합니다. VisioLab은 현재 독일과 미국의 70개 매장에 VCO를 설치했으며, 주로 대학교 식당과 회사 구내매점에 위치해 있습니다. 미국 스타디움에는 25개가 설치되어 있어 스포츠 시설에서의 활용도 증가하고 있습니다.이번 Georgia Southern University 도입을 통해 Aramark는 스포츠 경기장에서의 무인 결제 시스템 효과를 검증할 것으로 보입니다.
|
|
|
일본 슈퍼마켓 체인 AEON, 직원의 표정과 어투를 감지하는 AI 활용해 서비스 제고 추진
일본 유통업체 Aeon이 전국 240개 매장에 직원 태도 감지 AI를 도입할 예정입니다. InstaVR이 개발한 이 시스템은 '미스터 스마일(Mr Smile)'로 불리며, 직원의 미소, 목소리, 인사 어투를 평가합니다. 8개 매장 시범 적용 결과 서비스 태도가 개선되었다고 하나, 업무 스트레스 증가 우려가 있습니다. 최근 일본에서 고객 갑질 문제가 대두되는 상황에서, Aeon은 직원 태도 규격화를 목표로 하지만 직원들에게 부담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
|
|